임산물(산나물.약초,버섯)/버섯

우리나라 야생버섯

반딧불이(죽장) 2019. 9. 19. 05:10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는 야생 식용버섯 :

- 꾀꼬리버섯, 다색벚꽃버섯, 향버섯(능이), 송이버섯, 표고버섯, 큰갓버섯, 외대덧버섯,

 

싸리버섯, 뽕나무버섯, 달걀버섯, 그물버섯류 등이 있어요.
- 드물게 잿빛만가닥버섯, 연기색만가닥버섯, 잎새버섯, 개암버섯 등도 발생합니다

 


또한 약용버섯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꽃송이버섯과 불로초(영지) 등도 발견할 수 있구요.
※ 야생버섯은 재래시장에서 구매 가능합니다^_^



특히 웰빙버섯으로 불리며 한국인이 선호하는 버섯이

많이 자라는 곳에는 어김없이 독버섯 개체도 많답니다.
그래서 버섯을 채취하여 식용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가 90년대보다 독버섯 중독사고 건수가

약 반 정도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독버섯 중독사고는 매년 일어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독버섯 중독사고의 원인 버섯 :


- 아마톡신을 가진 독우산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이 가장 잘알려져 있고, <>- 유럽지역에서는 알광대버섯이 치명적인 독버섯 중독사고를 일으키고 있어요.
- 일본에서는 화경버섯과 삿갓외대버섯이 독버섯 중독사고를 가장 많이 일으키고,
- 사망사고를 일으키는 독버섯 : 독우산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노란다발,
절구버섯아재비 등. 이들 버섯류는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버섯들입니다.



독버섯의 중독증상식용 후 30분 정도가 지나면 현기증, 메스꺼움, 복통 등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섭취 후 10시간 정도 이후에 나타나므로

치료하기가 더욱 어려운 맹독성 버섯류입니다.

따라서 흰알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등

맹독성 버섯은 절대로 먹어서는 안됩니다. 잊지마세요!

- 독버섯 중독사고를 줄이는 방법 -

첫째, 본인이 확실히 알고 있는 신선한 버섯만을 채취하여 식용할 것.
둘째,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식용버섯과 독버섯의 잘못된 구별법을 맹신하지말 것.
셋째, 버섯중독은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버섯을 먹고 현기증,

메스꺼움, 복통, 구토, 설사 등이 증상이 나타나면

식용한 것을 바로 토해내고 바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을 것.

* 잘못된 상식 : 독버섯은 화려하고 벌레가 먹지 않고

은수저를 검게 변화시키고, 소금물에 절이면 무독화 된다.


- 모양이 비슷한 독버섯과 식용버섯 비교 -








이 땅에서 나는 자생버섯은 약 5000여 종으로 추정되며 그 중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식용버섯은 300-500여 종이라고 한다.

그 중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야생 식용버섯은 지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30-40여

종이며 대표적인 야생 식용버섯으로는 능이, 송이, 표고, 느타리[미루나무버섯],

뽕나무버섯[글쿠버섯], 꾀꼬리버섯[오이꽃버섯], 달걀버섯[계란버섯], 목이[흐르레기],

벚꽃버섯[밤버섯], 까치버섯[먹버섯], 기와버섯[청버섯],굴뚝버섯[굽드더기],

자주방망이버섯[가지버섯], 만가닥버섯[땅찌버섯], 개암버섯[개금버섯], 싸리버섯,

팽나무버섯[팽이,느티버섯], 갓버섯[말똥버섯], 노루궁뎅이, 잎새버섯 등이 있으며

야생에서 채취하여 바로 기름에 볶거나 무쳐서 먹거나 국이나 탕에 넣어 먹기도 하고

말리거나 소금에 저려두고 이듬해 봄까지 먹었다.

이 땅의 산채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야생식용버섯을 만나고자 지난 늦 여름부터 많은 산을

넘었지만 정작 만나서 맛까지 확인한 것은 그리 많지않다.

 

다음검색



'임산물(산나물.약초,버섯)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솔모 송이버섯(2019년 9월 25일)  (0) 2019.09.26
2018년 9월 마지막주말 이야기  (0) 2018.10.02
2018년 첫 버섯  (0) 2018.09.19
밤버섯  (0) 2018.09.13
표고버섯 재배기술 (2017-2)  (0) 2017.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