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심자연형(開心自然型)
복숭아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형으로 식재후 묘목의 지상 45∼75cm내외의 높이
주간에서 3∼4개의 주지를 사방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주지로부터 곁가지를 발달시켜
수형을 반달형 또는 원뿔형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년차별 정지전정 과정 다음과 같다. |
◎ 식재 당년에는 묘목의 80cm높이에서 수간을 절단하여 밑으로부터 3∼4개의 주지후보지를
발생 시킨다.
◎ 식재 2년차에는 전년도에 발생된 주지후보지 중 건실하고 수형유도에 적합한 3개의 주지를
선정하여 60cm내외의 길이에서 절단전정하고 기타 가지는 솎음전정으로 제거한다.
◎ 식재 3년차에는 전년도에 생장한 각 주지의 끝에 있는 건실한 가지를 주지로 하여 연장시키되
60cm내외에서 절단 전정하고, 주지연장지 이외에 곁가지 2개씩을 남기고 나머지는 솎음전정을
하여 제거한다.
◎ 식재 4년차부터는 3년차에서와 같이 주지와 곁가지로 나누어 정지전정을 하고 곁가지로부터
측지가 발생되도록 하되 적정한 결과모지(結果母枝)를 남겨 결과지(結果枝)가 생장이 되도록
한다.
(2) 변칙주간형(變側主幹型)
사과나무에서 볼 수 있는 수형으로 식재된 나무의 지상 1m 높이에 주간에 제1주지를 두고 그 위로 60∼80㎝ 간격으로 제3, 제4, 제5주지를 사방으로 배치하여 나무의 모양을 원뿔형으로 유도하는 방법으로 년차별 정지전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식재 당년도에는 묘목 지상부 60cm내외의 높이에서 절단전정을 한다. ◎ 식재 2년차에는 전년도에 자란 가지 중 주간 맨위에 있는 가지를 주간 연장지로하여 60cm내외의 길이에서 절단전 정을 하고, 밑에 있는 건실한 가지를 제1주지 및 제2주지로 배치한 다음 각 주지에서 다시 2∼3개의 곁가지가 발생되도록 한다.
◎ 식재 3년차에는 2년차 주간연장지에서 자란 끝가지를 주간연장지로 하고, 밑부분에서 생장한 가지를 제3주지, 제4주지 및 제5주지로 하여 각 주지로부터 곁가지가 생장되도록 한다.
◎ 식재 4년차에서는 수고의 높이를 고려하고 주지의 배치가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면 곁가지로부터 2∼3개의 측지를 생장시키고 적정한 결과모지를 남겨 결실되도록 한다. 만약 주지의 배치가 완료되지 못한 상태에서는 식재 3년차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주지연장지를 두고 주지를 배치한다.
◎ 식재 5년차부터는 곁가지 및 측지로부터의 결과모지수를 고려하여 솎음전정 및 절단전정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그림 13> 변칙주간형의 년차별 수형조절 방법
(3) 저수고형(低樹高型)
저수고형은 개심자연형을 발전시킨 방법으로 식재초기부터 계획적으로 수형을 유도하거나 6∼7년생의 어린 나무를 대상으로 수형을 유도하고자 할 때 적합한 방법이다. 수관의 밑가지 고사현상이 적고 주지, 아주지, 측지가 잘 발달된 장령림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수형조절방법이다. 이 방법은 수고를 3.5m내외로 낮게 유지하기 때문에 저수고형이라고 하는데 그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 신식지나 유령목의 경우에는 수고가 4m내외로 생장할 때까지는 3∼4개의 주지를 두고 개심자연형이나 변측주간형의 방법으로 정지전정하여 수형을 유도한다.
◎ 수령이 증가하면서 주위의 나무와 수관이 겹쳐지기 시작하는 시기에 지상으로부터 0.7m∼0.9m 높이의 주간부위에 주지 2개를남기고 주간을 잘라내는 단간을 실시한다.
◎ 주지 단간후 적당한 방향으로 주지를 배치하여 수관을 반타원형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만약 장령목의 경우 일시에 단간을 실시하면 수관면적의 축소로 인한 결실량의 감소로 생산량이 떨어지므로 연차적으로 수고를 낮추어 가면서 결실가능한 수관면적을 확보한 후 수고를 3.5m 내외로 유지시키는 것이 과실생산의 영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방법이다.
|